쓰다

반응형

 

저도 그냥 무심도 키움증권을 쓰고 있었는데요.

 

사실 제가 먼 옛날 대학교에 진학을 해서 첫 수업을 듣고

 

바로 사용해본게 키움증권이였거든요.

 

 

뭐 그 당시에 학교 선배들이 키움써라고해서

 

정말 아무 거리낌 없이 키움을 사용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왜??? 라는 의문이 들더라고요.

 

 

그 이후로도 별다른 거부감 없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냥 무심코 키움증권 수수료가 얼마지?

 

과연 내가 스마트하게 수익을 내고 있는 것인가 생각이 들던데

 

사실 이 증권 수수료가 만만치가 않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저희가 무심코 그냥 사용하고 있는 

 

키움증권 수수료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할께요.

 

 

키움증권 수수료란 무엇인가요?

 

저희가 키움증권에 계좌를 개설한 이후에는

 

이제 매수와 매도를 시작할텐데요.

 

 

1주를 매수 혹은 매도할 때마다 수수료가 발생해요.

 

수수료의 경우 낮으면 좋은건가요? 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저렴하면 저렴할수록 더더더더더!!!~~~~~~~ 좋은 겁니다. 

 

 

이에 증권사에서는 수수료 평생 무료 등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회원유치에 힘을 쓰고 있는데 사실 이런 이벤트를 진행하는

 

곳이 있다면....키움보다 거기로 넘어가는게....좋겠지만,

 

사실 이미 손에 익숙한 HTS를 버리고 간다는게

 

사실 쉽지가 않아요.(HTS세팅 및 새로운 프로그램 적응, 조건 검색식 등등)

 

 

그래서 키움증권 수수료는 대체 얼마인가요?

1. [키움증권] 검색

 

2. [키움증권] 검색 후 클릭

 

3. 스크롤을 밑으로 내려서 [증권업무안내] -> [수수료 및 증거금] 클릭

 

 

4. 수수료 확인

 

 

와 여기까지 보면 이렇게 생각하실꺼예요.

 

이걸 내가 어떻게 다 확인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서 저희가 딱!!!! 집어야 하는 것만 알아볼께요.

 

 

저희가 필요한건 바로 이거죠!!!

 

거래소(코스피) / 코스닥 / ETF / ETN / 코넥스 / ELW를

 

매수 혹은 매도할때 수수료가 얼마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HTS를 사용할 때와 MTS를 사용할때 

 

수수료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죠!

 

 

한마디로 정리하면 [거래소(코스피) / 코스닥 / ETF / ETN / 코넥스 / ELW]를

 

매수 혹은 매도하려고 할때 HTS 혹은 MTS를 사용하더라도

 

모두 0.015%라는 점이예요.

 

 

즉, 우리가 곧잘 하는 매매

 

예를 들어서 삼성전자를 매매한다고 했을 때

 

HTS를 사용하던 MTS를 사용하던 0.015%의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사실 보통 주식을 매매하시는 분들이 

 

거래소 혹은 코스닥 종목들 위주로 매매를 하는 만큼

 

이 부분만 아시면 크게 신경쓸 부분은 없고요.

 

 

나머지 부분의 경우 관심이 있으시다면 따로 한번 확인하는게 좋을 것 같네요.

 

 

 

마무리 글

 

이글은 절대 종목은 추천하거나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모든 매매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